2021-06-14 / 경제뉴스
[비트코인 지금] 머스크 비트코인 결제 재개 언급에 4400만원대로 상승 - 아시아경제
대표 가상화폐(암호화폐) 비트코인이 4400만원대로 상승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재개한다고 언급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14일 오전 7시18분 기준 비트코인은 전날 대비 7.45% 상승한 4451만원을 기록했다. 전날 오후 1시4분 4054만원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반등했다.
머스크 CEO가 비트코인 결제를 다시 허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자 시세가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시간) 머스크 CEO는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는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 중 10%만 매도했으며 이는 유동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채굴업자들의 합리적인 청정에너지 사용량이 확인되면 테슬라는 비트코인 결제를 재개할 것이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12일 그는 환경 문제 때문에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비트코인 시스템이 개선된다는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 지난 12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자들이 ‘탭루트’ 업그레이드 도입을 승인했다. 탭루트 업그레이드란 여러 개의 서명이 있는 거래를 판독할 수 없게 만드는 ‘슈노어 서명’으로 전환해 거래의 보안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복잡한 거래를 할 때 중개인이 필요 없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할 수도 있다. CNBC는 “비트코인이 스마트 계약을 구축한다면 이더리움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산금융 체계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탭루트 업그레이드는 오는 11월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화폐거래소, 코인 구조조정 나섰다 - 디지털타임즈
업비트와 빗썸 등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가 잇따라 다수 암호화폐를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하며 '코인 솎아내기'에 나섰다. 해당 종목은 70%이상 폭락하며 투자자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금융당국 신고를 앞두고 거래소들이 자체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코인 정리 작업에 착수했다는 분석이다.
13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업비트는 지난 11일 오후 5시경 코모도 등 25개 가상자산을 투자 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면 향후 일주일간 프로젝트 내용 심사와 유동성·매매 현황 모니터링을 받는다. 이후 지정 사유가 해소되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장폐지 절차를 밟는다.
업비트 측은 "팀 역량 및 사업, 정보 공개, 기술 역량, 글로벌 유동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내부 기준에 미달하여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지정 배경을 밝혔다.
빗썸도 같은날 오후 2시경 애프앤비프로토콜과 퀸비 등 2개 종목을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 시가총액 하락과 재단의 개발·사업 현황을 알기 어렵다는 이유 등에서다. 빗썸은 지난 3월 이후 13개 가상자산을 유의종목으로 지정했고, 오는 14일에는 원루트네트워크를 상장 폐지하기로 결정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나랏빚 좀 갚자"는 홍남기...'최대 20조원대' 현금지원 줄어들듯 - 머니투데이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세종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억원 1차관, 안도걸 2차관 등 양 차관과 예산실 및 세제실 주요 간부들이 참여한 가운데 예산·세제 조정협의회를 주재했다. 2차 추경과 하반기경제정책방향 모두 세제와 예산 부문의 협의가 필요한 사안인 만큼 홍 부총리 주재로 양측 의견을 조율하기 위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과 세수전망 등 최근 이슈를 놓고 예산실과 세제실 사이 의견을 조율했다"며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포함할 정책도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기재부는 추경안 관련 "적자국채 추가 발행은 없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 부총리는 지난 4일 2차 추경 방침을 공식화하면서 "추가 적자국채 발행없이 초과세수를 재원으로 한 추경"을 제시했다. 올해 연 30조원대 추가세수가 예상되는 만큼 세입 추경과 함께 예산보다 더 걷힌 세금 범위 안에서 추경을 편성하겠다는 얘기다.
한편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오후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추경 관련 대상 사업을 꼼꼼히 검토하면서 채무상환도 일부 반영하는 것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홍남기 부총리가 적자국채없는 추경에 국채상환까지 주문하면서 2차 추경을 통한 5차 재난지원금 규모는 당초 예상했던 20조원 안팎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올해 예산에서 계산한 세입예산은 282조7000억원이다.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으로 기업 실적이 개선돼 법인세가 증가하고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양도소득세 세입이 증가한 영향으로, 올해 세입은 300조원을 무난히 넘길 것으로 보인다. 정부 안팎의 전망대로 하반기 경기회복세가 이어진다면 30조원대 추가세수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30조원을 모두 2차 추경에 쏟을 수는 없다. 국가재정법상 세입을 늘리는 추경 편성 시 증가분에서 지방교부세 19.24%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20.79%를 우선 배정해야한다.
초과세수 30조원을 가정하면 이 중 40%를 지방에 내려보내고 남은 중앙정부 몫은 18조원 남짓이다. 기존 지출 예산의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한 추가 재원을 더해도 적자국채 발행 없이는 20조원 안팎에서 추경안이 짜일 것이란 관측이다. 여기에 일부를 국채 조기상환에 쓴다면 5차 재난지원금 등 현금성 지원에 쓸 수 있는 재정은 더 줄어든다. 지난해 1차 재난지원금 당시 전국민 재난지원금에 14조3000억원이 들어간 점에 비춰보면 그 이상의 대규모 보편지원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적자국채 발행없이 추경을 편성한다는 재정당국의 입장은 그대로"라며 "추경의 규모와 내용은 여당과도 의견조율이 필요한 사안으로 당정 논의에 따라 하반기경제정책방향에 추경 편성 방향을 담을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또 멈춘다…美앨라배마·아산공장 속속 중단(종합) - 뉴시스
전세계적 차량용 반도체 품귀로 현대자동차 미국 앨라배마주 공장과 국내 아산공장이 생산을 중단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주 공장은 이날부터 닷새간 생산 작업을 중단한다.
현지언론 WSFA TV는 10일 공장 노동자들이 월요일인 14일로 시작하는 주에 공장 가동이 중단된다고 통보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 신차 생산은 이뤄지지 않는다. 다만 기아의 조지아주 공장을 지원하기 위한 엔진 조립 작업과 완성차 배송 작업은 계속 진행된다.
“미래차는 車가 아니다”… 한은 보고서 들여다보니 - 조선비즈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대변되는 미래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체질이 바뀌고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자동차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계기로 산업 간 디지털 융합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14일 발표한 ‘빅블러 가속화의 파급효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라는 ‘BOK이슈노트’ 보고서에서 이종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Big Blur)’ 현상이 자동차 산업에서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보고서는 “지난 100여년간 안정적인 성장을 보였던 자동차 산업은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합으로 10년도 되지 않은 짧은 기간 동안 자동차의 친환경화, 지능화, 서비스화 등 새로운 균형점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고 했다.
기존 내연기관차 시장이 성숙단계에 접어든 반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공유차 등으로 대변되는 미래차 시장은 기업들의 경쟁적인 투자와 정부의 정책 지원을 토대로 빠르게 성장 중이라는 설명이다.
미래차 분야 중에서도 전기차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1%씩 성장해 신차 판매대수가 2600만대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자율주행차 시장은 2035년까지 연 40%씩 증가해 1조1204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밖에 공유차는 2030년까지 연 18% 성장이 예상된다.
이동걸 회장 "산은, HMM CB 전환할 것"…쌍용차엔 쓴소리(종합) - 아시아경제
삼성운용 美리츠펀드 ‘씽씽’.. 글로벌리츠펀드 수익률 1위 - 파이낸셜뉴스
'대출 돌려막기' 나선 자영업자 126만명…빚 500조 넘어섰다 - 한국경제
자영업자 가운데 3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126만명으로 1년 새 20만명(19.2%)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진 빚은 총 500조원을 넘어섰다. 이 규모가 5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다중채무자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 대출을 함께 갖고 있고 ‘대출 돌려막기’를 하고 있을 가능성도 커 소득 감소, 금리 인상 등 충격에 가장 취약한 고리로 꼽힌다. 빚으로 코로나19 위기를 버텨온 영세 자영업자들이 정부의 금융 지원책이 끝나면 무더기 부실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자영업자면서 다중채무를 지고 있다면 잠재 부실 위험이 더 크다고 본다. 자영업자는 보통 직장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출 규모가 크고 빚을 ‘돌려막기’ 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실제 유주희 나이스평가정보 매니저가 최근 펴낸 ‘차입 규모 변동을 고려한 가계대출 건전성 분석’ 보고서를 보면 같은 다중채무자여도 자영업자의 잠재부실률이 임금근로자의 잠재부실률보다 항상 높게 나타났다.
7년만에 조단위 계약 딴 대우조선, FPSO는? - 머니투데이
대우조선해양이 2년만에 초대형 해양설비를 수주했다. 조(兆)단위 대형 계약 체결에 성공한건 이번이 2014년 이후 7년만에 처음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부유식원유시추저장설비)는 국제유가와 원유 수요에 발주가 직결되는 해양플랜트다. FPSO 발주가 재개됨에 따라 국내 조선사들의 수주 증대가 기대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이탈리아 엔지니어링 업체 사이펨과 손잡고 브라질 최대 에너지 기업인 페트로브라스가 발주한 FPSO를 수주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FPSO의 총 계약 규모는 약 2조6000억원이다. 이 중 대우조선해양의 계약금액은 약 1조948억원이다.
이 FPSO는 하루 18만 배럴의 원유와 720만㎥의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또 200만 배럴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원유를 저장할 수 있는 선체와 상부구조물 일부를 건조한다. 사이펨에서 건조한 상부구조물을 받아 옥포조선소에서 최종 탑재한다.
이 설비는 2024년 하반기까지 건조 완료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심해유전중 하나인 브라질 부지오스 필드로 출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