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배우기

재무제표 4강 - 재무상태표(자산2)

백수뎁라 2021. 5. 12. 09:47

 

 

자산에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다.

 

 

 

 

이중 오늘은 비유동자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자공시시스템 참조/ 삼성전자 분기보고서(2020-11-16)

 

 

 

 

 

비유동자산이란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하지 않는 자산

 

 

 

당기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이번에 수익 난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손익 그 외 나머지 수익 난 금융자산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말 그대로 기업에 투자한 자산

유형자산

실체가 있는 자산

무형자산

실체가 없는 자산

순확정급여자산

퇴직금 관련 자산

이연법인세자산

미래에 발생할 법인세 감세 금액

기타비유동자산

그 외 나머지 비유동자산

 

 

 

심도 있게^^ 안 봐도 됨

당기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손익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이 달성한 이익(일, 월, 년, 분기, 반기 등)

공정가치 : 합리적 거래를 전제로 다른 당사자 간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가격을 말한다.

금융자산 : 말 그대로 금융자산

ex) 적금, 예금 등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 기업이 일정한 기간 동안에 소유주와 자본 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 금액

공정가치 : 합리적 거래를 전제로 다른 당사자 간 자산이 거래될 수 있는 가격을 말한다.

금융자산 : 말 그대로 금융 자산

ex) 증권 평가 손익, 해외사업 환산 손익, 파생 상품 평가손익 등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종속기업 : 당해 법인이 실질적으로 소유 내지 지배하고 있는 기업

관계기업 : 당해 기업에 중대한 영향력이 있는 기업

공동기업 :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행하는 조합, 회사 또는 카르텔 따위와 같은 같은 기업

ex) 회사에 투자함

유형자산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

ex) 토지, 건물, 설비, 비품,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등

무형자산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보유하는 자산으로 사용목적은 유형자산과 같지만 물리적 실체가 없는 자산

ex) 특허권, 영업권, 개발비, 상표권, 실용신안권 등

순확정급여자산

퇴직급여 제도로서 확정급여형을 설정한 기업은 확정급여채무를 부채로 인식해야 하며,

재무상태표상에는 확정급여채무와 사외적립자산을 상계한 순액인 순확정급여부채(자산)로 표시한다

ex) 퇴직연금 관련 자산이다.

이연법인세자산

래에 발생할 법인세 감세 금액. 기업회계로 산정한 과세 금액과 세무회계 상 계산한

과세 금액이 서로 다를 때 처리하는 회계상 항목을 의미한다

ex) 법인세 어쩌고 인데 결국 감세

기타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 가운데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이 아니면서 오랫동안 보유하는 자산

ex) 장기성 매출채권, 장기선급금 등